감정평가사 자격증 시험과목, 일정, 전망
감정평가사는 감평사라고도 부르는데요.
이 직업은 인지도가 높진 않지만
고소득에 평생직업이라고 합니다.
끝까지 꼼꼼히 읽어 보시고 준비하신다면 분명 도움이 될 거예요!
전문직을 희망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높습니다.
국가 전문 자격자로서 부동산 및 다양한 자산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합니다.
최근에는 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사적인 영역의 평가가 많아졌는데요.
업계에서 영역을 점점 넓혀가는 추세입니다.
합격자가 많지 않아서 시장 경쟁이 덜 치열합니다.
현장 조사는 거의 필수도 진행됩니다.
법인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5년 이상이면 연봉이 1억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생각한다면 메리트가 있는 직종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1. 시험과목
감정평가사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요.
다양한 자산을 가치를 매기는 직업이기 때문에 부동산과 법, 경제에 대해서 많이 알고 계셔야 합니다.
시험과목도 이와 관련이 많습니다.
1) 법 과목
1차로는 관계 법규와 민법
2차로는 보상 법규로 총 3개의 법 과목이 있어요.
법학은 초시생에게 진입장벽이 높다고 느낄 수 있는데요
이론 과목에 비해서 딱딱 정해져 있으며 법리 구조를 잘 익히면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이론 과목
1차로는 부동산학 원론
2차로는 감정평가 이론이 있습니다.
부동산학 원론은 계산 문제가 출제되는데 어렵지는 않습니다.
해당 과목 내용은 2차 시험인 감정평가 이론에도 이어지기 때문에 꼼꼼하게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출제 범위가 아주 방대하지만
틀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서술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3) 계산형 과목
1차로는 경제학 원론, 회계학
2차로는 감정평가 실무가 있습니다.
계산을 위주로 나오기 때문에 가장 어렵습니다.
4) 영어
영어는 공인으로 인정된 성적을 제출하는 것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응시 자격으로 볼 수도 있고 성적 기준도 높진 않아서 제일 먼저 준비하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감정평가사 영어로 인정되는 영어시험의 종류는
토익
토플
텝스
지텔프
아이엘츠가 있습니다.
일반 응시자와 청각장애인은 기준 점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1차나 2차 점수에 포함되지 않고 과목을 패스하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2. 시험 일정
2024 기준으로
1차 접수 기간은 2월 19일 ~ 2월 23일
1차 시험은 4월 6일 치러집니다.
1차 합격자 발표는 5월 8일에 결과가 나오고
2차 접수를 하시면 되는데요.
2차 접수 기간은 5월 20일 ~ 5월 24일
2차 시험은 7월 13일 치러집니다.
2차 합격자 발표는 10월 16일 ~ 12월 14일에 나옵니다.
시험은 주관식으로 출제되어 난도가 높습니다. 합격률은 낮은 편입니다.
준비 과정이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누구나 응시할 수 있지만 누구나 합격할 순 없습니다.
공인중개사 시험보다는 어렵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체계적인 학습계획을 세워 꼼꼼히 공부한다면 원하시는 결과 얻으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평균 준비기간은 3년~5년으로 짧은 편은 아닙니다.
꾸준히 성실하게 준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합격률은
필기시험 23년 기준 32.15%
실기시험 23년 기준 8.58%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취업하게 되면 연봉을 꽤 높게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직종과 직업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감정평가사 시험을 통과하게 되면 1년 동안 수습 기간을 보내게 됩니다.
수습 기간이 끝나면 정식 평가사가 됩니다.
3. 전망
감정평가사 전망은 좋은 편에 속합니다.
정부에서 매년 공시지가를 조사 후 발표하는데 이때 감정평가사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또 기업체의 자산평가와 매각 물건의 가격을 측정, 해야 할 일들이 많기 때문에 취업 기회도 많습니다.
다른 전문직에 비해서 신규 자격자의 유입이 적습니다.
자격증 취득만 한다면 시간이 흘러도 고소득이 보장됩니다.
경제 상황과 상관없이 업무가 꾸준히 들어올 것입니다.
불황일 경우에도 부동산 매물은 항상 있을 것입니다.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직업이 아니기 때문에 안정적인 직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은행이나 사무소에 취업이 가능합니다.
공기업으로도 취업이 가능하고 개인사무실을 개업할 수도 있습니다.
연봉은 평균 5천 ~ 6천 정도로 보입니다.
경력과 취업처에 따라 차이가 큰 편입니다.
수습 기간에도 웬만한 직장인만큼 연봉을 받게 됩니다.
약 3천5백만 원 이상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차는 약 8000만 원입니다.
본인의 능력에 따라서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감정평가사는 분쟁 해결의 중심에 있습니다.
양측 입장을 중립적인 위치에서 공정하게 평가해야 합니다.
윤리 의식과 책임 의식을 가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년 걱정이 없는데요.
대형 법인에서는 정년이 만 65세에서 70세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개업하게 된다면 평생 활동할 수 있습니다.
조직 분위기는 자율적인 편이며 개인이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업무 만족도는 높은 편에 속합니다.
그리고 전문 자격사 업계는 자격증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학벌이 낮더라도 취업에 대한 문턱이 낮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시험 준비를 하실 때는 꼼꼼히 알아보시고 확신이 생기신다면 시작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행착오가 적도록 사전 준비를 하시고 빠르게 진입하세요.
이 글을 읽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원하시는바 꼭 이루세요.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응원합니다.
<script async 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client=ca-pub-3740126341954098"
crossorigin="anonymous"></script>
'시험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 취득 방법 자세히 알려드려요 (0) | 2024.03.14 |
---|---|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기관과 실습 기관, 급여 총정리 (0) | 2024.03.13 |
40대 자격증 추천 전망도 함께 알아보자 (0) | 2024.03.11 |
[바리스타 자격증] EUCA 자격증 따야하는 이유! (2) | 2024.03.10 |
[피부 관리사 자격증] 국가자격증 따야 하는 이유! 전망 (0) | 2024.03.09 |